티스토리 뷰
시대적 미의 표현: 트랜드
시대적 미의 표현은 심미성 추구의 하위 개념으로 볼 수도 있지만 트랜드를 포함한 시대적 미의 표현은 패션디자인에서 특히 강조되는 부분이다. 미는 시대와 문화권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며, 시대가 추구하는 정신적 가치를 반영한다. 복식은 인체를 떠나서 생각할 수 없으며, 미에 대한 기준은 시대에 따라 변해 온 이상적인 여성의 모습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여성의 사회 진출보다는 모성이 강조되었던 19세기 중후반 서유럽의 빅토리아 시대에는 풍만한 가슴과 가는 허리가 강조되었고, 1920년대에는 플래퍼 스타일과 함께 코르셋으로 조이던 상체가 해방되며 다리가 노출되어 아름다운 각선미에 대한 인식이 생겼다. 1950년대까지 대체적으로 선호되는 체형은 할리우드 글래머라는 이미지로서 허리가 잘록하고 가슴과 힙이 균형을 이루는 영화배우 마릴린먼로같은 아워글래스형이었고 청년문화의 부상과 함께 1960년대 들어서는 모델 트위기처럼 매우 마르고 미성숙한 몸매가 선호되었다.
1980년대에는 여성의 활발한 사회 진출과 여권의 신장과 함께 운동으로 다져진 근육질의 강인한 체형이 선호되었고 1990년대에는 모델 케이트 모스의 인기에서 알 수 있었듯이 다시 마른 체형이 선호되었다.
패션디자인은 이러한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매체로서 시대가 추구하는 이상미를 구현하고 실제 소비자의 체형을 보완해 준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어깨선을 바깥쪽으로 확장하고 어깨패드를 넣어 만든 파워숄더 재킷은 활동적이고 능력있는 여성상을 반영한 것으로, 어깨가 넓지 않은 소비자라도 어깨패드의 보조를 받아서 충분히 그 시대의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 시대 구성원들이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 달라진다. 파워숄더의 시대가 지나면서는 다시 좁고 둥근 어깨가 여성의 아름다움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따라 재킷에서 어깨패드를 최소화하거나 아예 제거하고, 심지어 소매도 원래 어깨선보다 안쪽으로 부착하여 몸에 꼭 맞게 디자인했다. 시대적 미는 이렇게 가변적이어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스타일도 시간이 지나면 어색하고 이상하게 보인다.
또한, 패션은 장기간에 걸친 변화와 함께 소규모 단위로 변하는 많은 트랜드의 영향을 받는다. 트랜드에 따른 스타일의 변화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옷의 디자인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옷을 입은 인체를 포함한 외모 전체에 대한 인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바지통이 넓은 바지가 유행일 때는 다리의 모양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체형이 보완되어 날씬하고 우아하게 보인다. 하지만 통이 좁은 바지로 패션트랜드가 바뀌면 통이 넓은 바지는 거추장스러워 보이고 몸매가 드러나는 스키니 팬츠를 입었을 때 오히려 날씬하게 보인다고 느낀다.
동시대에도 지역이나 문화권에 따라 추구하는 아름다움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패션 트랜드가 거의 동시에 전 세계에 전파됨에도 지역별. 문화권별 패션의 차이는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면, 햇볕에 그을린 듯한 건강한 피부색을 강조하는 피부 색조 화장은 미국 문화권에서는 중요한 마케팅 포인트가 될 수 있지만, 한국 문화에서는 대체로 희고 맑은 피부 표현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므로 구릿빛 피부를 연출하는 데 필요한 제품의 판매는 기대하기 힘들다. 이와 같이 글로벌 마켓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비즈니스에서는 마케팅하려고 하는 문화권에서 추구하는 아름다움에 대해 깊이 이해해야 한다.
패션트랜드는 패션제품을 지각하는 필터 역할을 하므로 디자이너는 항시 트랜드 변화를 민감하게 인지해야 한다. 하지만 21세기 패션트랜드는 한 가지 스타일이 전체 패션산업을 지배하지 않고 다양한 트랜드가 동시에 존재한다. 그 때문에 다양한 트랜드는 진단과 적용이 쉽지 않다. 디자이너는 목표하는 소비자 집단이 추구하는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선택적으로, 또는 융통성 있게 트랜드를 반영해야만 한다.
- 패션디자인, knoupress -
'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적 전통의 보고, 영국의 전통의상 문양 (0) | 2025.01.26 |
---|---|
원주율민족, 캐나다 전통의상문양 (0) | 2025.01.25 |
멕시코 전통의상 문양의 역사 (0) | 2025.01.22 |
패션디자인의 사회심리적 목표 2 (0) | 2025.01.21 |
패션디자인의 이성적 목표 (0) | 2025.01.19 |
질감의 개념 (0) | 2025.01.18 |
네팔의 전통의상과 문양 (0) | 2025.01.18 |
현대 패션에서 복식미(服飾美)의 미적 범주 (1) | 2025.01.18 |